본문 바로가기

금융공부

매수?매도?매수호가?매도호가?

주식을 잘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싸게 사서 비싸게 팔면 됩니다. 끝.

그런데 그게 어렵죠? 매수란 주식을 사는 것이고, 매도란 주식을 파는것입니다. 매수한 가격보다 매도한 가격이 비싸면 이익이 생기죠? 전에 말씀드렸듯 주식 한 주당 금액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어차피 하루에 움직일 수 있는 가격의 범위가 정해져있기 때문입니다. 그 범위는 절대금액이 아니라 비율입니다. 현재 국내주식은 상한선, 하한선 30%로 정해져있습니다. 그래서 주당 100원짜리 주식은 그날 최고 130원, 최저 70원까지만 움직일 수 있고 주당 10만원 짜리 주식은 그날 최고 13만원, 최저 7만원으로 움직일 수 있는거죠.

증권사 주식 거래창을 열어 보겠습니다. 


많은 가격들이 보이는데요. 저것을 호가창 이라고 합니다. 호가란 팔거나 사려는 것의 가격을 부른다 라는 것인데요. 수요와 공급으로 이루어져 있는 주식을 사고자 할 때는 매수 호가를, 가지고 있는 주식을 팔고자 할 때는 매도 호가를 부르는 것입니다. 주식은 철저하게 수요와 공급으로 이루어 집니다. 내가 매수호가를 얼마에 내도, 그에 맞는 매도호가가 없다면 거래는 체결되지 않습니다. 

 

위 사진을 보면 또 의문이 생깁니다. 어떤 주식은 ±1,000원단위, ±500원단위,±1원단위 로 되있는데요. 이것도 다 규칙이 있습니다.

주식가격 코스피 코스닥
1,000원 미만 1원 1원
1,000원 이상~5,000원 미만 5원 5원
5,000원 이상~10,000원 미만 10원 10원
10,000원 이상~50,000원 미만 50원 50원
50,000원 이상~100,000원 미만 100원 100원
100,000원 이상~500,000원 미만 500원 100원
500,000원 이상 1,000원 100원

사실 호가 단위가 어떻게 되는지는 직접 거래를 해보면 그리 중요하지 않다는걸 아실거에요. 다만 호가 단위가 바뀌는 구간, 4,900원에서 거래를 시작한 주식이 상승하여  5,000원을 넘게되면 그때부턴 5원에서 10원단위로 움직인다는것 정도만 알고 계시면 될것입니다. 참고로 ETF,ELW는 가격에 관계없이 5원단위로 호가가 움직입니다.


매수한 가격보다 매도한 가격이 높으면 이익

매수한 가격보다 매도한 가격이 낮으면 손해

내가 산 가격보다 비싸게만 팔면 되는 아주 간단한 게임인데 그게 참 어렵습니다.^^

반응형

'금융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수금?증거금?미수금?  (0) 2022.11.02
주식옮기기? 혜택까지?  (0) 2022.10.23
증권거래수수료? 제세금?  (0) 2022.10.22
비싼주식? 싼주식?  (0) 2022.10.17
코스피? 코스닥?  (0) 2022.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