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회사가 고평가 되어있는지, 저평가되어있는지를 판단할 때 많이 보는 것 중 하나가 바로 PBR이라는 지표입니다.
이번엔 PB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PBR 란?
PBR = Price Book Value Ratio
= 주가 순 자산 비율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현재 주가를 자당 순 자산가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PBR은 현재 가지고 있는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으로 계산을 하기 때문에 자산이 많고 부채가 적을수록 값이 작아집니다. 그래서 PBR이 작을수록 저평가되어있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 PBR 값 구하기
PBR을 구하려면 주당순자산가치(BPS)를 알아야 합니다.
BPS = 순자산(자본총계) / 주식수 로 구합니다.
순자산(자본총계)은 재무제표 상에서 확인할 수 있고 자산총계에서 부채총계를 빼서 구할 수 있습니다.
이 자본총계를 주식수로 나누어 주면 BPS(주당순자산가치)를 알 수 있고,
현재 주가를 BPS로 나누어 주면 PBR을 구할 수 있습니다.
■ PBR 값의 활용
PBR = 주가 / BPS = 주가 / (순자산/ 주식수) = 주가 * 주식수 / 순자산 = 시가총액 / 순자산
쉽게 말해 시가총액을 순자산으로 나눈 값인데요. 이게 1보다 작다라는 말은 그 회사의 가격을 의미하는 시가총액보다 순자산이 더 많다는 말입니다. 즉, 회사가 망해서 자산을 다 팔아 정리해도 돈이 남는다는 말입니다.
쉽게 예를 들면 1억을 주고 동네 치킨집을 인수 했는데 폐업하면서 거래처 미수금 다 갚고 안에 있던 집기들과 재고들 중고로 팔고, 보증금 받았더니 1억이 넘게 내손에 들어온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렇다면 PBR이 1보다 밑이라면 저평가라고 봐도 되겠죠?
하지만!!!!! PBR 또한 참고 사항일 뿐 이라는 것을 꼭 명심하세요. 아무리 저평가 회사라고 해도 1년을 저평가받을지 10년을 저평가받을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우리의 목적은 투자한 회사가 남들도 매력적으로 느껴 주가가 오르고 그래서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치킨집을 운영한다고 합니다. 그 분 이야기를 들어보니 자기는 자기 건물에서 장사를 한다고 합니다. 그 이야기를 들은 저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운영되겠구나라고 생각은 할 겁니다. 하지만 치킨집 운영의 본질은 장사가 잘 되는 것이겠죠? 단지 자기 건물에서 장사한다고 장사가 잘된다는 보장은 없는 것이니까요. 그래도 아무 정보 없이 한 사람은 자기 건물에서 장사를, 다른 한 사람은 임대로 장사를 한다라고 하면, 자기 건물에서 장사하는 분이 더 오래갈 확률이 높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전 PBR을 요정도 느낌적인 느낌으로 판단하려고 합니다.^^)
※ 저도 공부하고 있는 초보 주린이 이기 때문에 본 글은 참고만 해주세요. 혹시 틀린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말씀해주세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금융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 에어로스페이스 대규모 유상증자(3조 6천억)😵💫완벽분석! (8) | 2025.03.21 |
---|---|
보통(지정가)주문?시장가 주문? (0) | 2022.12.15 |
투자 지표 ① PER (0) | 2022.11.08 |
예수금?증거금?미수금? (0) | 2022.11.02 |
주식옮기기? 혜택까지? (0) | 2022.10.23 |